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산업안전보건법령을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 이론과 실무 적용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2025년 2회차에서는 특히 굴착작업 계획서 작성과 관련된 문제가 새롭게 추가되어 출제되었습니다.
1. 굴착 방법 및 순서
2. 토사 반출 방법
3. 필요한 인원 및 장비 사용 계획
4. 매설물 등에 대한 이설 보호 대책
5. 흙막이 지보의 설치 방법 및 계측 계획
① 50억
② 기본 안전보건 대장
③ 설계 안전보건 대장
④ 공사안전보건 대장
2과목 산업심리 및 교육
인간의 행동특성과 안전교육 관련 문제들이 출제되었으며, 특히 도수율 계산 문제가 포함되었습니다.
- 재해건수: 60건
- 근로자수: 1,500명
- 하루 근로시간: 8시간
- 연평균 근로일수: 300일
- 출근율: 95%
= (60 × 1,000,000) ÷ (1,500 × 8 × 300 × 0.95)
= 60,000,000 ÷ 3,600,000 = 16.666...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6.67입니다. (단위 없음)
3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전기안전과 관련된 계산문제와 안전보건위원회 구성 등의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1) 인체에 흐른 전류: 7,500mA
2) 심실세동 전류 지속시간: 0.484ms
1) V = I × R, 300 = I × (25 + 1000) → I = 300/1025 = 0.293A = 293mA
(물에 젖은 경우 인체내부저항 25Ω 적용)
2) 심실세동 전류: I = 165/√t → 7.5 = 165/√t → √t = 22 → t = 484 → 0.484ms
4과목 건설시공학
철골구조의 내화피복 공법과 콘크리트 옹벽의 안정성 검토에 관한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1. 전도 (전도에 대한 안정성)
2. 활동 (활동에 대한 안정성)
5과목 건설재료학
목재의 파티클보드와 방수재료의 인장강도에 관한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 그물코 10cm: 200kg
- 그물코 5cm: 110kg
6과목 건설안전기술
양중기의 종류와 방호장치, 분진작업 관련 근로자 교육사항 등이 출제되었습니다.
양중기 종류: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 이동식크레인 중 2가지
방호장치: 권과방지장치, 가부화방지장치, 제동장치, 비상정지장치 중 2가지
현장 성공 사례 및 실패 후 개선 전략
실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관리 성공사례와 실패를 통한 개선 방안을 소개합니다.
성공 사례 1: 롯데월드타워 무재해 달성
롯데건설의 롯데월드타워 건설 현장에서는 555m 초고층 건축물 시공에도 불구하고 큰 사고 없이 준공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국제 소방·방재 기준을 적용한 선제적 안전 설계와 철저한 시공 관리의 결과였습니다.
핵심 성공요인: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 설계 오류 사전 제거
- 24시간 안전상황센터 운영
-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체계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패 후 성공 사례: 건설현장 안전시설물 관리 개선
초기 실패: 한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안전시설물을 임의로 해체한 후 복구하지 않아 다른 작업자에게 위험이 노출되는 문제가 반복 발생했습니다.
개선 전략 및 성공:
- 안전시설물 전담 설치/해체반 구성
- 모든 안전시설물에 임의해체 금지 표지와 연락처 기재
- 해체 시 반드시 관리자 승인 후 진행하는 시스템 구축
-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로 현장 작업자들의 협조 확보
결과: 준공까지 사건·사고 없이 안전하게 공사를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실패 후 성공 사례: 대림산업의 3Step 안전운동
과거 문제점: 형식적인 안전관리로 재해율이 높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개선 방안: 대림산업은 자체적인 위험성 평가시스템인 '3Step 운동'을 정부의 'High Five' 운동과 연계하여 운영했습니다.
- PLAN: 안전관리 예방활동
- DO: 현장 실천활동
- SEE: 평가활동
성과: 전체 재해율을 2003년 0.36% → 2004년 0.26% → 2005년 0.19%로 지속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본 자료는 AI를 활용하여 제작된 예상 문제이며, 산업인력공단의 실제 기출 문제와는 다름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