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고용보험 피보험자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만15~34세 유형별 혜택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핵심 요약 | 신청방법·조건·유형1 차이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고용보험 피보험자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만15~34세 유형별 혜택


1. 한눈에 보기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유지한 중소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유형2 신설로 일반 청년까지 대상이 확대되고, 청년에게 직접 근속 인센티브가 지급됩니다.

2. 유형1 vs 유형2

  • 대상: 유형1=취업애로청년 중심 / 유형2=일반 청년까지 확대(빈일자리 업종 중심)
  • 지급 주체: 유형1=기업만 / 유형2=기업+청년 동시
  • 핵심 포인트: 유형2는 청년 본인 인센티브 신청이 필요

3. 혜택 요약

  • 기업: 청년 1인당 월 최대 60만 원, 연 최대 720만 원 인건비 지원
  • 청년(유형2): 근속 6·12·18·24개월 구간별 각 120만 원, 최대 480만 원
주의: 동일 인건비 성격 지원과 중복 불가, 부정수급 시 환수 가능.

4. 자격 요건

  • 기업: 우선지원대상기업(고용보험 피보험자 5인↑), 인위적 감원·법 위반 없음
  • 청년: 만 15~34세, 정규직 신규채용, 주 28시간↑, 최저임금↑, 고용보험 가입
  • 유형2: 제조·보건복지 등 빈일자리 업종 중심, 일반 청년도 가능

5. 신청 절차 · 공식

  • 흐름: 참여신청(채용 전) → 요건 심사 → 채용·6개월 근무 → 지원금 신청
  • 청년 인센티브(유형2): 근속 구간 도달 후 청년 본인 신청 필수
  • 고용24 신청 이동

6. 실무 팁

  • 면접 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유형2) 참여 중/참여 계획 있으신가요?” 확인
  • 기업: 빈일자리 업종 해당·5인 이상·우선지원대상기업 요건 사전 점검
  • 청년: 재학/사업자 등록 등 제외 요건 체크, 근속 인센티브는 직접 챙기기
  • 일정 관리: 참여신청 승인 타이밍과 채용일자를 맞춰 누락 방지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