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임플란트 전문기업 시지메드텍이 2025년 대웅그룹 편입 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시지메드텍 최신 실적과 주가 현황
2025년 10월 2일 기준 시지메드텍(056090) 주가는 1,010원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연중 최고가 1,608원에서 최저가 830원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실시간 서지메드텍 증시 이동놀라운 실적 개선, 대웅 체제의 성과
시지메드텍의 2025년 상반기 실적이 정말 인상적입니다! 연결 기준 매출액이 243.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9.9% 성장했어요.
영업이익도 25억원으로 294.2% 급증했고요. 이런 실적 개선은 대웅그룹 편입 후 경영 효율성이 크게 개선된 덕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별도 기준으로도 상반기 누적 매출이 131.2억원으로 전년 대비 12.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3.5억원으로 56.8% 늘어났네요. 특히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이 1분기 5.0%에서 2분기 15.1%로 크게 개선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존슨앤드존슨과의 게임체인저 파트너십
노보시스 트라우마, 글로벌 진출의 전진기지
시지메드텍의 가장 큰 성장 동력은 바로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와의 독점 공급 계약이에요!
2025년 2월 체결된 이 계약에 따르면, 시지메드텍은 골절 치료용 제품인 '노보시스 트라우마'를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에 독점 공급하게 됩니다.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는 한국을 시작으로 동남아 주요 시장에서 유통을 담당하죠.
이미 3월부터 공급이 본격화되었고, 앞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시장은 물론 북미, 남미까지 시장 확대를 계획하고 있어요. 노보시스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과 유전자재조합 골형성 단백질(rhBMP-2)이 결합한 혁신적인 골대체제로, 전 세계에서 약 10만 건 이상의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제품입니다.
미국 시장 진출과 고부가가치 전략 🇺🇸
시지메드텍의 또 다른 강점은 미국 시장에서의 성과입니다. 자사 경추 케이지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미국 의료진으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신규 거래처를 빠르게 확보하고 있어요.
실제로 2025년 상반기 해외 매출이 17% 증가한 64억원을 달성했고, 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해외 매출비중이 51.1%로 과반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34.7%)보다 16.4%포인트나 상승한 수치예요.
척추 신제품 3D 프린팅 경추 케이지 '유니스페이스'가 미국 병원에 납품을 시작한 것도 해외 매출 증가의 주요 요인입니다.
치과 사업 확장, 새로운 성장 엔진
시지메드텍은 기존 정형외과 사업에서 축적한 임플란트 기술력을 치과 분야로 확장하며 사업 다각화에 성공하고 있어요.
2024년 8월 디지털 덴티스트리 전문기업 지디에스(GDS)를 인수한 것을 시작으로, 2025년에는 '올어버트먼트'와 '덴탈오션'까지 인수하며 디지털 덴티스트리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장하고 있습니다.
지디에스는 2025년 1분기에 순이익 3억원을 기록하며 연결 기준 흑자전환에 기여했고, 5월 말 시지메드텍에 흡수합병되어 별도 기준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실시간 서지메드텍 증시 이동신공장 건설과 생산 확대
시지메드텍은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어요. 경기도 의정부시 내 보유 부지에 약 50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2,299㎡ 규모의 신공장을 건설 중입니다.
이 신공장을 통해 기존 대비 두 배 이상의 생산 설비를 확보하고, 정형외과 금속 임플란트 제품의 연간 생산량을 기존 20만 개에서 60만 개로 300% 확대할 계획이에요. 2025년 3월에 착공해 10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관련주 시장 전망과 투자 기회
2025년 의료기기 관련주 전체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6개월간 의료기기 테마주들이 40.90%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고령화 사회 진입과 의료 기술 발전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어요.
시지메드텍 투자 포인트 정리
강점 요소들:
대웅그룹 편입 후 경영 효율성 크게 개선
존슨앤드존슨과의 독점 파트너십으로 글로벌 진출 가속화
미국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성공적 진출
치과 사업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
신공장 건설로 생산 능력 300% 확대 예정
주의할 점들:
PER 1028배로 높은 밸류에이션
의료기기 업계 경쟁 심화 가능성
해외 매출 의존도 증가에 따른 환율 리스크
2030년 1조 3천억원 매출 목표, 현실적일까?
유현승 대표가 제시한 2030년 매출 1조 3천억원 목표는 현재 연 매출 400억원 수준을 고려하면 상당히 도전적입니다.
하지만 존슨앤드존슨 파트너십을 통한 글로벌 진출과 치과 사업 확장, 그리고 생산 능력 대폭 확대 등을 감안하면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보여요
실시간 서지메드텍 증시 이동투자 전략과 향후 전망
단기 관점(6개월~1년):
존슨앤드존슨 파트너십 본격화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신공장 가동(10월 예정) 후 생산량 확대 효과
치과 사업 인수합병 시너지 발현
중장기 관점(2~3년):
미국 시장 본격 진출과 매출 확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성과
생분해성 마그네슘 임플란트 '리조멧' 상용화
시지메드텍은 현재 1,000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존슨앤드존슨과의 파트너십과 대웅그룹의 든든한 지원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종목으로 보입니다. 다만 높은 밸류에이션과 업계 경쟁 심화 등은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에요.
정말 흥미진진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시지메드텍,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기대되네요!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게 결정하시길 바라요.